2025/04 11

THR Direct Anterior Approach (DAA)

**Direct Anterior Approach (DAA)**는 근육을 절개하지 않고 사이를 벌려 접근하는 최소침습적인 방법이라 빠른 회복과 탈구율 감소에 장점이 있지만, 기술적으로 까다롭고 특별한 셋업이 필요합니다. 아래에 수술 테이블, 기법, 노하우까지 총정리해드릴게요.🔧 1. Direct Anterior Approach에 적합한 수술 테이블📌 대표적 테이블 종류: 수술대특징Hana Table (Mizuho OSI)다리 각도 조절 및 traction 가능. 가장 널리 쓰임PROfx Table (Mizuho)유사 기능, 수술 중 다리 회전 쉽게 가능Standard Flat OR Table + Leg holder저비용 대안. Manual traction 필요✅ 필수 기능 요약:양다리 독립적 조절 가능..

★study 2025.04.11

THR approach

Total Hip Replacement (THR, 전엉덩관절치환술)은 고관절(hip joint)의 손상된 부분을 인공관절로 대체하는 수술이며, 다양한 접근(approach) 방법이 존재합니다. 각 approach는 수술 시 절개 부위, 절개하는 근육, 시야 확보 방식 등에 차이가 있고, 각각의 장단점이 있어 환자의 상태와 외과의사의 선호도에 따라 선택됩니다.🦴 주요 THR 수술 접근법 종류 접근 방식절개 방향주요 특징Posterior approach (후방)엉덩이 뒤쪽 (gluteus maximus split)가장 널리 사용됨, 시야 넓음Direct anterior approach (전방)대퇴 전면부 (사타구니 근처)근육 보존, 회복 빠름Anterolateral approach (전외측)대퇴 측면안정성..

★study 2025.04.11

2025년 대한민국, 일본, 미국, 호주의 최저시급

​2025년 기준으로 대한민국, 일본, 미국, 호주의 최저시급과 그 차이점 및 각국의 장단점을 비교해드리겠습니다.​📊 2025년 주요국 최저시급 비교 국가최저시급 (현지 통화)한화 환산 (원)비고🇰🇷 대한민국10,030원10,030원2025년 최저임금 고시 기준🇯🇵 일본1,054엔약 9,778원2024년 기준, 2025년 예상치 1,090엔🇺🇸 미국$7.25 (연방 기준)약 9,700원2009년 이후 동결, 주별 상이🇺🇸 미국 (시애틀)$20.76약 27,800원2025년 시애틀시 기준🇦🇺 호주A$23.23약 21,000원2024년 7월 기준, 2025년 A$24.10 예정환율은 2025년 3월 기준이며, 실제 환율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각국 최저임금의 특징 및 장단점🇰?..

★information 2025.04.11

Colles fracture에서 wrist ORIF 시 plate와 screw의 적절한 위치

Colles fracture에서 wrist ORIF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시 plate와 screw의 적절한 위치 선정은 수술 후 기능 회복과 합병증 방지를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아래에 주요 고려 사항들을 정리해드릴게요:🔹 1. Plate의 최적 위치▶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plate:Volar locking plate (복측 잠김 금속판): 가장 흔히 사용되며, 복측(radial volar side)에 부착합니다.▶ Plate 위치 선정 기준:"Watershed line" 기준:Watershed line은 radius distal volar aspect의 뼈 돌출 부위로, plate가 이 선을 넘어서면 **flexor tendon(굴근건)**과 마찰 위..

★study 2025.04.11

허리통증 으로 L-spine CT 와 MRI

✅ L-spine CT와 MRI: 왜 찍을까요?허리 통증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고, 치료 방향을 정하기 위해 영상 검사가 필요합니다. 특히 CT와 MRI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CT (Computed Tomography, 전산화 단층 촬영)골 구조 확인에 탁월뼈의 미세 골절, 척추관 협착, 퇴행성 변화 등을 확인외상, 골절, 척추의 해부학적 이상 등을 평가할 때 유용📌 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자기공명 영상)연부 조직(디스크, 신경, 인대 등) 확인에 탁월디스크 탈출증(디스크가 터져 신경을 누르는 경우)척수염, 신경근병증, 종양, 감염, 디스크 퇴행 등 확인 가능방사선 노출이 없고, 조직 간 구분이 매우 뚜렷함🔍 CT vs MRI: 비교 정리구분CTM..

★study 2025.04.09

TKA (Total Knee Arthroplasty, 슬관절 치환술) 시에 proximal tibia cutting angle

TKA (Total Knee Arthroplasty, 슬관절 치환술) 시에 proximal tibia cutting angle은 **기본적으로 수평(0도)**으로 설정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이는 coronal plane에서의 medial-lateral alignment와 sagittal plane에서의 slope 유지 모두에서 중요한 개념입니다.🦴 1. Coronal Plane (정면에서 봤을 때) – Varus/Valgus Angle기본 cutting angle:👉 **0도 (수직)**으로 설정이유:경골의 기계축은 해부학축과 거의 일치 → 별도의 보정 각도 불필요Varus(내반) 또는 Valgus(외반) 변형을 교정하고, 전체 하지의 **기계적 축 (mechanical axis)**을 **중립 정렬..

★study 2025.04.07

TKA (Total Knee Arthroplasty, 슬관절 치환술) 시에 distal femur cutting angle

TKA (Total Knee Arthroplasty, 슬관절 치환술) 시에 distal femur cutting angle에 기본적으로 3도 valgus angle을 주는 이유는, 하지의 해부학적 축과 기계적 축의 차이를 보정하기 위해서입니다.🦴 용어 정리 먼저! 용어설명Mechanical axis고관절 중심 → 발목 중심을 잇는 직선 (정렬 기준축)Anatomical axis대퇴골의 중심을 따라 내려오는 축 (femoral shaft 중심선)Valgus angle대퇴골 해부학축과 기계축 사이 각도 (보통 5~7도)📐 왜 distal femur를 3도 valgus로 자르나요?**기계축(mechanical axis)**을 기준으로 **중립 정렬(neutral alignment)**을 맞추기 위함입니다...

★study 2025.04.07

Ankle Tenoscopy Tibialis posterior tendon

Ankle tenoscopy (족관절 건내시경) 시에 **Tibialis posterior tendon (후경골건)**을 확인하는 이유는, 이 구조가 발과 발목 안정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병변이 자주 발생하는 부위이기 때문입니다.🦶 Tibialis Posterior Tendon (후경골건)이란?기능:발의 내반(inversion), 족저굴곡(plantarflexion) 작용medial longitudinal arch 유지보행 시 발의 안정성 유지위치:안쪽 복사뼈(medial malleolus) 뒤쪽을 지나 navicular bone 부위에 부착tarsal tunnel 내를 통과🔍 Ankle Tenoscopy에서 Tibialis Posterior를 확인하는 이유: 이유설명1. Tendinopat..

★study 2025.04.07

Knee X-ray에서 Merchant view

Knee X-ray에서 Merchant view는 **슬개골(patella)**과 대퇴골(femur) 사이의 관계를 평가하기 위한 특수 촬영 자세입니다.📸 Merchant View란?환자가 무릎을 굽힌 상태에서,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촬영하는 **Axial View (축상면)**입니다.주로 무릎을 약 45도 정도 굽힌 상태에서 촬영하고, 슬개골과 대퇴골 사이를 tangential하게 보여줍니다.보통 dual X-ray beam system을 사용하거나, CT와 병용하기도 합니다.🔍 Merchant View를 보는 이유 (임상적 목적): 목적설명1. Patellofemoral Joint 평가슬개골과 대퇴골 사이의 관절 간격 및 정렬 상태를 평가2. Patellar tracking 이상 확인슬개골이 la..

★study 2025.04.07

Bimalleolar와 Trimalleolar

Bimalleolar와 Trimalleolar는 모두 **발목 골절(ankle fracture)**의 종류를 구분할 때 사용하는 용어입니다. 이 둘의 차이는 골절에 관여하는 뼈의 개수와 위치에 있습니다.🦴 1. Bimalleolar Fracture (양과 골절)어디가 부러지나요?Medial malleolus (내측 복사뼈) – 경골(tibia)의 안쪽 돌출 부위Lateral malleolus (외측 복사뼈) – 비골(fibula)의 바깥쪽 돌출 부위✅ 총 2곳의 골절이 있음📌 보통 발목이 심하게 비틀리거나, 발이 고정된 상태에서 넘어졌을 때 발생🦴 2. Trimalleolar Fracture (삼과 골절)어디가 부러지나요?Medial malleolus (내측)Lateral malleolus (외측)..

★study 2025.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