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영유아기와 성인, 노인의 Tibia Plateau

thingpa 2025. 3. 12. 11:09

🔹 영유아기와 성인, 노인의 Tibia Plateau 크기 차이 및 설명

Tibia(정강이뼈)의 **plateau(경골 고원, 무릎 위쪽 관절면)**는 **medial(내측)과 lateral(외측)**로 나뉘며, 성장과 노화에 따라 형태와 크기가 변합니다.


1️⃣ 영유아기의 Tibia Plateau 구조 및 크기 특징

🔹 크기 비교

  • Lateral Plateau가 Medial Plateau보다 상대적으로 크다.
  • 신생아 및 영유아의 lateral tibial plateau는 medial tibial plateau와 유사한 크기를 가짐.
  • 성장하면서 medial plateau가 상대적으로 더 커짐.

🔹 이유

  • 신생아 및 영유아는 연골 성분이 많고, 관절면이 상대적으로 평평함.
  • 체중 부하가 적고, 보행이 시작되지 않아서 medial과 lateral의 크기 차이가 뚜렷하지 않음.
  • 성장하면서 체중 부하와 보행 패턴이 변화하면서 medial plateau가 lateral plateau보다 더 커지기 시작함.

2️⃣ 성인의 Tibia Plateau 구조 및 크기 특징

🔹 크기 비교

  • Medial Plateau가 Lateral Plateau보다 크다.
  • Medial: 약 50~60mm
  • Lateral: 약 40~50mm

🔹 이유

  1. 체중 부하 차이
    • Medial tibial plateau는 체중의 60~70%를 지탱하므로 더 넓고 두껍게 성장.
    • Lateral tibial plateau는 상대적으로 가벼운 부하를 받음.
  2. 기능적 역할 차이
    • Medial side → 안정적인 지지 역할 (Weight-bearing zone)
    • Lateral side → 운동성이 더 큼 (Mobility zone)
  3. 관절 구조 차이
    • Medial condyle이 깊고 평평한 형태 → 안정성 높음
    • Lateral condyle이 더 둥글고 볼록한 형태 → 회전 및 이동성 증가

3️⃣ 노인의 Tibia Plateau 변화 및 크기 차이

🔹 크기 변화

  • Medial Plateau의 점진적 감소, Lateral Plateau는 상대적으로 덜 감소
  • 연골이 닳으면서 medial plateau가 좁아지고 퇴행성 관절염이 발생

🔹 이유

  1. 퇴행성 변화(Arthrosis) & 연골 마모
    • 체중 부하가 많은 medial tibial plateau는 관절염으로 인해 연골이 닳고 뼈의 부피 감소
    • Lateral tibial plateau는 상대적으로 덜 손상됨.
  2. 골밀도 감소(Osteoporosis)
    • 노화로 인해 **골 소실(Bone loss)**이 일어나면서 tibial plateau의 강도가 낮아짐.
    • 특히 medial tibial plateau에서 trabecular bone(소주골)이 약해져 압박골절(Insufficiency fracture) 위험 증가

🔹 영유아 vs 성인 vs 노인의 Tibia Plateau 크기 비교 정리

 

나이 Medial Tibial Plateau 크기 Lateral Tibial Plateau 크기 비율 변화
영유아기 작고 상대적으로 평평 Medial과 크기 차이가 크지 않음 거의 비슷함
성인기 Lateral보다 크며 넓고 평평 Medial보다 작고 둥근 형태 Medial > Lateral
노년기 퇴행성 변화로 좁아짐 상대적으로 덜 감소 Medial의 감소율이 큼

🔹 결론

영유아기: Medial과 Lateral의 크기 차이가 크지 않음, 체중 부하가 적고 연골이 많음.
성인기: Medial이 Lateral보다 더 커짐, 체중 부하 증가로 구조적 차이 발생.
노년기: Medial이 점점 좁아짐, 퇴행성 관절염과 골밀도 감소로 인한 변화.

👉 Medial tibial plateau가 Lateral보다 더 크게 성장하는 이유는 체중 부하를 더 많이 받기 때문이며, 노화에 따라 퇴행성 변화가 더 두드러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