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atella Dislocation의 방향별 명칭 및 차이점
Patella(슬개골)의 탈구는 크게 Medial Dislocation과 Lateral Dislocation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Patella Medial Dislocation (슬개골 내측 탈구)
📌 정의
- Patella가 정상 위치에서 내측(medial)으로 이동하는 경우
- 주로 수술(TKA, MPFL 재건술) 후 발생
📌 원인
- 외과적 원인
- TKA(Total Knee Arthroplasty) 후 과도한 medialization
- MPFL(Medial Patellofemoral Ligament) 재건술 후 과도한 조임
- Lateral release(외측 지대 절개술) 후 medial side 불균형
- 해부학적 요인
- Quadriceps muscle imbalance (vastus medialis가 강하고, vastus lateralis가 약한 경우)
- Patella alta (고위 슬개골)로 인해 tracking 이상 발생
📌 증상
- 무릎을 굽히거나 펴는 동작에서 patella가 비정상적으로 medial로 움직임
- 무릎 앞쪽 및 내측의 불편감, 통증
- Knee flexion 제한 및 patellar tracking 이상
📌 치료 방법
🔹 보존적 치료 (초기 및 경증)
- 근력 강화 운동: Vastus lateralis 및 외측 구조 강화
- 물리치료: Patellar taping, patellar mobilization
- 보조기 착용: Lateral pull을 유지하는 patellar brace 사용
🔹 수술적 치료 (심한 경우)
- MPFL 재건술 조정: 너무 tight한 MPFL을 이완
- Lateral release 후 Medial Imbalance 조정
- Patellar realignment surgery: Medialization을 과도하게 한 경우 교정
2️⃣ Patella Lateral Dislocation (슬개골 외측 탈구)
📌 정의
- Patella가 정상 위치에서 외측(lateral)으로 이동하는 경우
- 가장 흔한 형태의 슬개골 탈구
📌 원인
- 해부학적 요인
- Q-angle 증가 (여성에서 더 흔함)
- Patella alta (고위 슬개골)
- Trochlear dysplasia (대퇴골 활차구 형성 저하)
- Lateral condyle hypoplasia (대퇴골 외측 과소 형성)
- 외상성 요인
- 무릎이 굽혀진 상태에서 회전력이 가해질 때 (예: 스포츠 손상)
- 갑작스러운 방향 전환 중 외측 힘 작용
📌 증상
- 무릎 앞쪽 및 외측의 통증
- 무릎이 구부러질 때 patella가 비정상적으로 lateral로 이동
- 심한 경우 patella가 완전히 탈구됨
📌 치료 방법
🔹 보존적 치료 (초기 및 경증)
- 근력 강화 운동: Vastus medialis oblique(VMO) 강화
- 물리치료: Patellar taping, lateral stabilization 훈련
- 보조기 착용: Medial pull을 유지하는 patellar brace 사용
🔹 수술적 치료 (재발성 또는 중증)
- MPFL 재건술: Medial Patellofemoral Ligament을 강화하여 lateral dislocation 방지
- Trochleoplasty: 대퇴골 활차구가 얕은 경우 골성 교정
- Tibial Tubercle Osteotomy(TTO, Fulkerson 절골술): Patellar tracking 개선
🔹 Medial vs. Lateral Patellar Dislocation 비교 정리
특성 | Patella Medial Dislocation | Patella Lateral Dislocation |
방향 | Patella가 **내측(medial)**으로 이동 | Patella가 **외측(lateral)**으로 이동 |
발생 빈도 | 드물다 | 가장 흔하다 |
주된 원인 | - 수술 후 합병증 (TKA, MPFL 재건술) - Vastus medialis 과활성 - 과도한 medialization |
- Q-angle 증가 - Patella alta - Trochlear dysplasia - 외상성 손상 |
증상 | - 내측 통증 및 불안정성 - Knee flexion 시 patella가 medial로 이동 |
- 외측 통증 및 불안정성 - Patellar tracking 이상 |
보존적 치료 | - Vastus lateralis 강화 - Patellar taping - Lateral stabilization 운동 |
- VMO 강화 - Patellar taping - Medial stabilization 운동 |
수술적 치료 | - MPFL 재건술 조정 - Lateral release 후 Medialization 조정 - Patellar realignment |
- MPFL 재건술 - Trochleoplasty - TTO (Tibial Tubercle Osteotomy) |
🔹 결론
✅ Patella Medial Dislocation은 수술 후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너무 강한 medial pull이 원인이므로 균형을 맞추는 치료가 필요합니다.
✅ Patella Lateral Dislocation은 가장 흔한 형태로, 해부학적 요인과 외상으로 인해 발생하며, MPFL 재건술 및 골성 교정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 Lateral Dislocation이 더 흔하고, Medial Dislocation은 주로 수술 후 발생하는 것이 큰 차이점입니다.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유아기와 성인, 노인의 Spine Curve (2) | 2025.03.12 |
---|---|
영유아기와 성인, 노인의 Tibia Plateau (0) | 2025.03.12 |
Patellla Alta vs baja (0) | 2025.03.12 |
TKA(Total Knee Arthroplasty)에서 Patella Resurfacing (0) | 2025.03.12 |
TKA 수술 시에 patella resurface (0) | 2025.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