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수술 후에 사용하는 봉합사 의 종류

thingpa 2025. 2. 5. 15:48

🔹 수술 후 처치에 사용되는 Suture(봉합사) 종류

수술 후 처치를 위한 **Suture(봉합사)**는 재료, 지속 기간, 봉합 방식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사용됩니다.
목적: 창상(절개 부위) 보호, 감염 예방, 조직 회복 촉진
선택 기준: 수술 부위, 조직 유형, 봉합의 필요 기간, 감염 위험성


1. 봉합사(Suture) 분류 기준

봉합사는 재료(Material), 흡수 여부(Absorbable vs. Non-absorbable), 구조(Monofilament vs. Multifilament) 등에 따라 나뉩니다.

📌 (1) 흡수성 vs. 비흡수성 (Absorbable vs. Non-Absorbable)

 

구분 특징 사용 부위 예시
흡수성(Absorbable Suture) 일정 기간 후 체내에서 자연 분해됨 내부 장기, 점막, 근육, 피하 조직 Vicryl, Monocryl, PDS, Catgut
비흡수성(Non-Absorbable Suture) 체내에서 분해되지 않으며, 필요 시 제거 피부, 인대, 힘줄, 장기 고정 Nylon, Prolene, Silk, Ethibond

📌 일반적으로 피부 봉합에는 비흡수성 사용, 내부 장기에는 흡수성 사용


📌 (2) 단섬유 vs. 다섬유 (Monofilament vs. Multifilament)

 

구분 특징 예시
단섬유 (Monofilament) - 매듭이 잘 풀리지 않음
- 감염 위험 낮음
- 조직 손상이 적음
Nylon, Prolene, PDS, Monocryl
다섬유 (Multifilament, Braided) - 유연성이 좋고 매듭이 잘 고정됨
- 조직 반응이 있을 수 있음
- 감염 위험이 다소 높음
Vicryl, Silk, Ethibond

📌 Monofilament는 감염 위험이 낮아 선호됨, Multifilament는 고정력이 좋아 사용됨


2. 주요 Suture 종류별 특성 및 용도

📌 (1) 흡수성 봉합사 (Absorbable Sutures)

 

봉합사 종류 특징 사용 부위
Catgut (Plain & Chromic) - 동물성 단백질(소 장막) 기반
- 빠른 흡수(Plain), 느린 흡수(Chromic)
점막(구강, 산부인과), 내장
Vicryl (Polyglactin 910) - 다섬유(Braided), 강한 고정력
- 약 56~70일 후 완전 흡수
근육, 피하조직, 구강
Monocryl (Poliglecaprone 25) - 단섬유(Monofilament), 조직 손상 적음
- 약 90~120일 후 완전 흡수
피부, 점막, 연부조직
PDS II (Polydioxanone) - 단섬유, 강한 인장력 유지
- 180~210일 후 완전 흡수
근육, 장기, 복벽

📌 내부 장기나 점막에는 흡수성 봉합사 사용!


📌 (2) 비흡수성 봉합사 (Non-Absorbable Sutures)

 

봉합사 종류 특징 사용 부위
Nylon (Ethilon, Dermalon) - 단섬유, 강한 인장력, 조직 반응 적음 피부 봉합, 외과 수술
Prolene (Polypropylene) - 단섬유, 유연성이 좋음, 감염 위험 낮음 혈관, 피부, 근막
Silk (Silk Braided) - 다섬유(Braided), 조직 반응이 큼 혈관 결찰, 피부 봉합
Ethibond (Polyester, Braided) - 강한 인장력, 단단한 고정 인대, 힘줄, 근육

📌 피부 봉합에는 Nylon이나 Prolene, 힘줄/인대에는 Ethibond 사용!


3. Suture 선택 기준 (어떤 봉합사를 사용할까?)

 

부위 권장 봉합사 설명
피부(Skin) Nylon, Prolene (비흡수성) 강한 인장력 & 감염 위험 낮음
점막(Mucosa) Vicryl, Monocryl, Catgut (흡수성) 자연 분해 필요
혈관(Vascular) Prolene (비흡수성) 혈관 내 지속적 유지 필요
근육(Muscle) PDS, Vicryl (흡수성) 장기적인 지지 필요
인대/힘줄(Tendon/Ligament) Ethibond, FiberWire (비흡수성) 강한 인장력 필요
장기(Internal Organs) PDS, Vicryl (흡수성) 장기간 조직 유지 후 흡수 필요

📌 부드러운 조직(피부, 점막)에는 흡수성 사용, 강한 지지가 필요한 부위(힘줄, 인대)에는 비흡수성 사용!


4. 결론: Suture 선택 시 고려할 점

조직 유형: 부드러운 조직(점막, 피부) → 흡수성 / 강한 조직(힘줄, 인대) → 비흡수성
감염 위험: 감염 위험이 높은 부위 → Monofilament 사용
장기적인 유지 필요 여부: 오랜 고정이 필요하면 비흡수성, 단기적이면 흡수성

💡 👉 결론적으로, 봉합사는 수술 부위와 조직 특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해야 하며, 최근에는 감염 위험을 낮추고 조직 반응을 최소화하는 Monofilament 봉합사가 선호되는 추세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