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ARCR에서의 single row와 double row

thingpa 2025. 2. 5. 15:17

ARCR(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에서 Single Row vs. Double Row

**ARCR(관절경적 회전근개 봉합술)**은 파열된 회전근개(Rotator Cuff)를 봉합하여 기능을 회복시키는 수술입니다. 봉합 방식에는 크게 Single Row(단일 열 봉합)와 Double Row(이중 열 봉합) 두 가지 방법이 있으며, 각각의 장단점이 존재합니다.
최근 트렌드는 환자의 파열 유형, 재파열 위험, 봉합 강도, 비용 등을 고려하여 맞춤형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Double Row가 선호되는 경향이 있지만 상황에 따라 Single Row도 여전히 유용합니다.


🔹 1. Single Row vs. Double Row 봉합 개념

Single RowDouble Row

봉합 방식골 부착부(footprint) 한 줄로 앵커 고정골 부착부에 두 줄의 앵커를 사용하여 넓게 봉합
사용하는 앵커 수보통 2~3개 앵커보통 4개 이상의 앵커
봉합 강도비교적 낮음더 강한 고정력 제공
Footprint(골 부착면) 복원제한적 (부분적 복원)넓은 footprint 복원 가능
수술 시간비교적 짧음수술 시간이 더 걸릴 수 있음
비용낮음상대적으로 비용 증가
적용 대상작은 크기의 파열대형, 광범위 파열 (Massive Tear)

🔹 2. Single Row 봉합(Single Row Repair)의 장단점

장점 (Advantages)

  1. 빠른 수술 시간 → 수술 시간이 짧아 환자의 부담이 적음
  2. 적은 앵커 사용 → 비용 절감 → 의료비 부담이 낮음
  3. 수술 후 통증 감소 가능 → Footprint 압박이 적어 출혈 및 염증 반응이 줄어들 수 있음
  4. 작은 파열(Partial Tear)에 적합 → 회전근개 손상이 경미한 경우 효과적

단점 (Disadvantages)

  1. 고정력이 상대적으로 낮음 → 봉합부가 견갑골에 넓게 부착되지 않아 재파열 가능성 증가
  2. Footprint(골 부착면) 복원이 제한적 → 힘줄의 생리적 부착을 완전히 재현하기 어려움
  3. 재파열 위험 증가 → 특히 광범위 파열(Massive Tear)에서는 재파열율이 증가

📌 결론:
👉 작은 파열(Small to Medium Tear)에서는 Single Row도 충분히 효과적
👉 재파열 위험이 높은 환자에서는 적절하지 않을 수 있음


🔹 3. Double Row 봉합(Double Row Repair)의 장단점

장점 (Advantages)

  1. 고정력이 강함 → 두 줄의 앵커를 이용하여 넓은 부착면을 확보
  2. Footprint 복원이 우수 → 생리적 부착(Anatomical Repair)에 가까운 결과 제공
  3. 재파열 가능성 감소 → 특히 광범위 파열(Massive Tear)에서 장기적인 결과가 더 우수
  4. 어깨 기능 향상(Faster Functional Recovery) → 근력 회복 및 재활 과정에서 유리

단점 (Disadvantages)

  1. 수술 시간이 더 길어짐 → 평균적으로 Single Row보다 긴 수술 시간 필요
  2. 비용 증가 → 더 많은 앵커를 사용하므로 의료비 부담이 증가
  3. 과도한 봉합(Tissue Overload) 가능성 → 조직이 너무 당겨질 경우 혈류 공급이 제한될 수 있음

📌 결론:
👉 광범위 파열(Large to Massive Tear)에서는 Double Row가 더 유리
👉 비용과 수술 시간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


🔹 4. 현재의 트렌드(Recent Trends)

Double Row 봉합이 점점 더 선호되는 추세

  • 연구 결과에서 Double Row가 Single Row보다 재파열률이 낮고, 힘줄 부착력이 높다는 점이 입증됨
  • 특히 대형 파열(Large Tear) 및 광범위 파열(Massive Tear)에서는 Double Row가 더 효과적

그러나 모든 환자에서 Double Row가 필수는 아님

  • 비용 문제 및 환자의 활동 수준을 고려하여 작은 파열(Small Tear)에서는 Single Row도 여전히 사용
  • 생물학적 치료(Platelet-Rich Plasma, PRP 등)와 병행하여 Single Row를 보완하는 시도도 증가

Suture Bridge Technique(봉합 다리 기법) 같은 Hybrid 방식 등장

  • Double Row의 장점(넓은 Footprint & 강한 고정력)과 Single Row의 장점(빠른 회복)을 결합한 기법
  • Single Row보다 고정력이 우수하고, Double Row보다 비용과 조직 부담이 적음

🔹 5. 결론: Single Row vs. Double Row, 언제 선택할까?

상황권장 봉합 방법

작은 파열(Small Tear, <1cm)Single Row (비용 절감, 빠른 회복)
중간 크기 파열(Medium Tear, 1~3cm)Single Row 또는 Suture Bridge
큰 파열(Large Tear, 3~5cm)Double Row 또는 Suture Bridge
광범위 파열(Massive Tear, >5cm)Double Row (고정력 강화)
재파열 위험이 높은 환자(흡연, 당뇨, 노인)Double Row (재파열 예방)

💡 👉 현재 트렌드는 Single Row보다는 Double Row가 더 많이 사용되지만, 환자의 상태와 경제적 요인을 고려하여 맞춤형 선택이 이루어지고 있음 😊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릎관절염에서 TKA와 HTO  (0) 2025.02.05
HTO 시 Osteotomy Cutting 각도를 재는 방법  (0) 2025.02.05
RTSA에서 Glenosphere 선택  (0) 2025.02.05
TSA보다 RTSA를 많이 시행하는 이유  (0) 2025.02.05
RTSA  (0) 2025.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