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ormation 36

간호사가 해외 취업하기 좋은 나라

간호사는 해외에서도 수요가 높은 직업이며, 국가마다 급여, 근무 환경, 비자 취득 용이성 등이 다릅니다.다음은 간호사가 해외 취업하기 좋은 나라 TOP 6입니다.1. 미국 🇺🇸 (간호사 연봉 최고, 이민 기회 多)✅ 평균 연봉: $75,000~$100,000 (약 1억~1억 3천만 원)✅ 장점:간호사 수요가 높아 취업 비자(H-1C) 및 영주권(EB-3) 가능병원 외에도 연구소, 학교, 공공기관 등 다양한 취업 기회경험이 많으면 연봉 1억 이상 가능✅ 단점:NCLEX-RN (미국 간호사 면허 시험) 합격 필요주마다 면허 갱신 필요📌 취업 방법:한국에서 NCLEX-RN 시험 합격 → 취업 후 병원 스폰서로 영주권 신청미국 간호사 유학 후 취업 (OPT, H-1B, EB-3 이민 가능)2. 캐나다 🇨..

★information 2025.02.19

미국의 시민권과 영주권

미국으로 이민을 가려면 **시민권(Citizenship)**과 **영주권(Green Card)**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각각의 특징과 획득 방법을 자세히 설명해 드릴게요.1. 시민권과 영주권의 차이  구분 영주권(Green Card)시민권(Citizenship)법적 지위미국에서 영구적으로 거주 가능미국 국적을 가진 정식 시민여권 발급미국 여권 없음미국 여권 소지 가능투표권없음있음 (대통령·의회 선거 참여 가능)강제 추방범죄 등으로 추방 가능추방되지 않음재입국6개월 이상 해외 체류 시 문제 발생 가능제한 없이 해외 체류 가능정부 혜택일부 제한된 복지 혜택모든 혜택 가능연방 공무원제한 있음모든 공직 지원 가능미군 입대제한적 가능모든 군사 직종 가능스폰서 이민가족 일부만 초청 가능더 많은 친척 ..

★information 2025.02.19

미국으로 이민 가기에 좋은 주

미국으로 이민 가기에 좋은 주는 목적(취업, 교육, 생활비, 기후 등)에 따라 다릅니다. 아래 주요 기준별로 살펴볼게요.1. 전반적으로 이민자에게 좋은 주 TOP 5이민자 친화적이며, 경제·교육·삶의 질이 좋은 주를 정리했습니다. 주(State) 주요 도시 장점 단점텍사스 (Texas)오스틴, 휴스턴, 댈러스저렴한 생활비, 강한 경제, 세금 혜택 (소득세 없음)여름이 덥고 습함캘리포니아 (California)LA, 샌프란시스코, 샌디에이고다양한 문화, IT·엔터 산업, 좋은 날씨집값·세금이 비쌈워싱턴 (Washington)시애틀IT·항공·스타트업, 자연환경, 소득세 없음비가 자주 옴플로리다 (Florida)마이애미, 올랜도, 탬파저렴한 세금, 따뜻한 날씨, 관광산업허리케인 위험콜로라도 (Colorado..

★information 2025.02.19

치킨집 창업

1. 치킨집 창업 비용창업 비용은 브랜드 가맹점(프랜차이즈)인지, 개인 창업(자영업)인지에 따라 다릅니다.① 프랜차이즈 치킨집 창업 비용프랜차이즈는 브랜드 인지도와 운영 지원이 있지만 초기 비용이 더 많이 듭니다.가맹비: 500만~3,000만 원 (브랜드에 따라 다름, 일부 브랜드는 면제)교육비: 200만~500만 원 (조리 및 운영 교육)보증금: 500만~1,000만 원 (계약 종료 시 환불 가능)인테리어 비용: 3,000만~7,000만 원 (매장 크기 및 브랜드 규정에 따라 다름)주방설비 및 집기: 2,000만~5,000만 원 (튀김기, 냉장고, 조리도구 등)초기 재료비: 500만~1,500만 원기타 비용: 홍보비, 간판, POS 시스템 등 500만~1,000만 원💰 총 예상 비용: 7,000만~2..

★information 2025.02.19

건강보험료 vs 과세표준 관계 정리

📢 건강보험료 vs 과세표준 관계 정리건강보험료는 소득에 따라 부과되는 사회보험료이며, 과세표준은 소득세를 부과하는 기준 금액입니다. 이 둘은 밀접한 관계가 있지만 계산 방식이 다릅니다.✅ 건강보험료와 과세표준의 차이  구분 건강보험료 부과 기준과세표준(소득세) 계산 방식적용 대상근로소득, 사업소득, 금융소득, 임대소득 등근로소득, 사업소득, 금융소득, 임대소득 등필요경비(비용) 공제 여부사업소득은 필요경비 차감 후 반영필요경비 공제 후 과세표준 결정공제 항목필요경비 공제 가능하지만 소득세 공제는 적용 안 됨기본공제, 인적공제, 기부금 공제 등 다양한 세액공제 적용세율소득에 따라 정해진 건강보험료율(6.99%) 적용소득세율(6~45%) 적용부과 시기연말정산 및 종합소득세 신고 후 변동종합소득세 신고 시..

★information 2025.02.17

사업소득으로 인한 건강보험료 변동 기준

📢 사업소득으로 인한 건강보험료 변동 기준 (2024년 기준)사업소득이 발생하면, 건강보험료(지역가입자 보험료)가 변동될 수 있습니다. 소득 금액에 따라 얼마나 변동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건강보험료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 직장가입자의 경우근로소득만 있다면 회사에서 급여의 일정 비율(6.99%)을 원천징수하여 납부추가로 사업소득이 발생하면, 종합소득세 신고 후 건강보험료가 변동될 수 있음소득이 많아질 경우, 직장가입자 + 지역가입자로 간주되어 추가 보험료 부과 가능📌 지역가입자로 전환되는 기준✔ 직장가입자의 연간 사업소득이 500만 원 초과 시, 건강보험료 추가 부과✔ 연간 사업소득이 500만 원 이하면 건강보험료 변동 없음✅ 건강보험료 변동 범위 (소득별 예시)소득에 따라 건강보험료가 얼마나 증가..

★information 2025.02.17

투잡 할때 본업, 원래직장에서 사업소득을 조회할 수 있는지 여부

본업(직장)에서 사업소득을 직접 조회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일부 경우에는 사업을 하고 있다는 사실이 직장에 알려질 수 있습니다. 어떻게 조회되거나 노출될 가능성이 있는지 자세히 설명드릴게요.✅ 본업 직장에서 사업소득을 알 수 있는 경우1️⃣ 4대 보험을 통해 확인되는 경우✔ 직장인 신분 + 추가 근로소득(투잡) 발생만약 부업(투잡)으로 다른 직장에서 급여를 받고 4대 보험이 가입되면, 국민연금/건강보험 등급이 변동될 수 있음.이 경우, 인사팀(회계팀)에서 급여 변동 내역을 보고 추가 소득을 유추할 가능성이 있음.하지만 사업소득(프리랜서, 자영업)은 4대 보험에 영향을 주지 않음.2️⃣ 연말정산을 통해 확인되는 경우✔ 근로소득 외 소득이 있으면, 연말정산 시 본업 직장에 노출될 수도 있음사업소득은 연말..

★information 2025.02.17

블로그 광고 수익 국세청 신고 방법

📢 블로그 광고 수익 국세청 신고 방법블로그 광고 수익은 일반적으로 사업소득 또는 기타소득으로 신고할 수 있습니다. 수익 형태에 따라 신고 방식이 다르므로, 본인의 상황에 맞게 선택하면 됩니다.1️⃣ 광고 수익 형태에 따른 신고 방법✅ ① 애드센스(AdSense), 네이버 애드포스트 수익👉 주로 해외(구글)나 국내(네이버)에서 광고 수익을 지급받는 경우👉 기본적으로 사업소득이나 기타소득으로 신고 가능✅ ② 협찬 리뷰, 배너 광고, 콘텐츠 제휴 수익👉 기업으로부터 직접 광고비를 받는 경우👉 보통 사업소득으로 신고하며, 3.3% 원천징수 여부를 확인해야 함2️⃣ 신고 방법 선택 (사업소득 vs 기타소득)구분사업소득기타소득적용 대상정기적으로 광고 수익이 발생하는 경우광고 수익이 일시적(연 300만 원..

★information 2025.02.17

사업소득을 국세청에 신고하는 방법

사업소득을 국세청에 신고하는 방법은 크게 사업자 등록 여부에 따라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프리랜서나 부업 소득이 있는 경우, 사업자 등록 없이도 종합소득세 신고를 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신고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해 드릴게요.1. 사업자 등록 없이(프리랜서) 신고하는 방법👉 대상: 개인이 부업이나 프리랜서로 소득을 벌지만, 사업자 등록을 하지 않은 경우👉 소득 유형: 보통 3.3% 원천징수(사업소득) 형태로 받는 경우① 홈택스에서 신고하기홈택스 접속 (국세청 홈택스)로그인 (공동인증서 또는 간편인증 필요)[신고/납부] → [종합소득세 신고] 선택신고 유형 선택"일반 신고" 또는 "간편 신고" 중 선택원천징수된 사업소득이 있다면 자동으로 조회됨소득 입력사업소득 항목에서 원천징수 내역을 확인하고 추가 입..

★information 2025.02.17

투잡 할 경우 주의사항

투잡을 할 경우, 일정 소득 이상이면 원래 다니는 직장에서 4대 보험 및 연말정산을 통해 인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1. 4대 보험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직장가입자 여부: 근로소득이 발생하는 회사에서 월 80시간 이상 근무하거나 일정 기준 이상의 급여(월 약 52~60만 원 이상)를 받으면 4대 보험 가입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건강보험: 두 곳에서 모두 직장가입자로 등록될 경우, 원래 회사에서 건강보험 부과 내역을 보고 추가 소득이 있음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국민연금: 두 직장에서 국민연금을 내는 경우 원래 회사에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2. 연말정산 (근로소득 합산 신고)추가 소득이 연 150만 원(월 12.5만 원) 초과할 경우, 종합소득..

★information 20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