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ormation

블로그 광고 수익 국세청 신고 방법

thingpa 2025. 2. 17. 09:56

📢 블로그 광고 수익 국세청 신고 방법

블로그 광고 수익은 일반적으로 사업소득 또는 기타소득으로 신고할 수 있습니다. 수익 형태에 따라 신고 방식이 다르므로, 본인의 상황에 맞게 선택하면 됩니다.


1️⃣ 광고 수익 형태에 따른 신고 방법

① 애드센스(AdSense), 네이버 애드포스트 수익

👉 주로 해외(구글)나 국내(네이버)에서 광고 수익을 지급받는 경우
👉 기본적으로 사업소득이나 기타소득으로 신고 가능

② 협찬 리뷰, 배너 광고, 콘텐츠 제휴 수익

👉 기업으로부터 직접 광고비를 받는 경우
👉 보통 사업소득으로 신고하며, 3.3% 원천징수 여부를 확인해야 함


2️⃣ 신고 방법 선택 (사업소득 vs 기타소득)

구분사업소득기타소득

적용 대상 정기적으로 광고 수익이 발생하는 경우 광고 수익이 일시적(연 300만 원 이하)인 경우
세금 부과 종합소득세 + 부가가치세 신고 필요 (사업자 등록 시) 종합소득세만 신고
필요 경비 공제 가능 (광고비, 장비, 인터넷 비용 등) 기본 60% 필요경비 공제 적용
신고 방식 사업자로 등록 후 신고 종합소득세 신고 (5월)

📌 Tip:

  • 연 300만 원 이하 소득이라면 기타소득(비사업소득)으로 신고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음.
  • 일정 금액 이상 꾸준히 수익이 발생하면 사업자 등록 후 사업소득으로 신고하는 것이 적절함.

3️⃣ 블로그 광고 수익 신고 절차

✅ 방법 1: 사업자 등록 없이(기타소득) 신고하는 방법

👉 일시적 수익(연 300만 원 이하)이라면 기타소득으로 신고 가능

  1. 국세청 홈택스 접속 (홈택스 바로가기)
  2. 로그인 후 [신고/납부] → [종합소득세 신고] 선택
  3. 소득 유형에서 ‘기타소득’ 선택 후 광고 수익 입력
  4. 필요경비(60% 자동 공제) 적용 후 세금 계산
  5. 세금 납부 또는 환급 확인 후 신고 완료

📌 기타소득 공제 기준

  • 연 300만 원 이하: 필요경비 60% 자동 공제
  • 연 300만 원 초과: 사업소득으로 신고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음

✅ 방법 2: 사업자로 등록 후(사업소득) 신고하는 방법

👉 정기적인 광고 수익이 발생한다면 사업자 등록 후 신고 필요

  1. 사업자 등록 (국세청 홈택스 또는 세무서 방문)
    • 업종 코드: ‘광고대행업(749909)’ 또는 ‘인터넷 정보매개업(631212)’
    • 간이과세자(매출 8,000만 원 이하) 또는 일반과세자 선택
  2. 부가가치세 신고 (1월, 7월)
  3. 종합소득세 신고 (5월)
  4. 필요경비(인터넷 비용, 장비 등) 공제 후 세금 납부

📌 Tip:

  • 애드센스 수익이 해외에서 발생하면, 부가세 납부 의무가 없음.
  • 사업자 등록 후 카드, 사무용품, 인터넷 비용 등을 필요경비로 공제 가능.

4️⃣ 블로그 광고 수익 신고를 하지 않으면? (무신고 패널티)

📌 국세청은 해외(구글) 및 국내 광고 수익 데이터를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음

  • 무신고 시 가산세 부과 (최대 40%)
  • 소득세 및 지방세 추가 부담

👉 일정 수익이 발생하면 적절한 신고 방법을 선택하여 신고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 결론: 내 블로그 광고 수익, 어떻게 신고할까?

일시적 수익(연 300만 원 이하) → 기타소득으로 신고 (필요경비 60% 자동 공제)
꾸준한 수익 발생(연 300만 원 초과) → 사업자 등록 후 사업소득으로 신고
세금 부담 줄이기 → 필요경비 공제 활용, 절세 방법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