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ormation
2025년 대한민국, 일본, 미국, 호주의 최저시급
thingpa
2025. 4. 11. 10:49
2025년 기준으로 대한민국, 일본, 미국, 호주의 최저시급과 그 차이점 및 각국의 장단점을 비교해드리겠습니다.
📊 2025년 주요국 최저시급 비교
국가 | 최저시급 (현지 통화) | 한화 환산 (원) | 비고 |
🇰🇷 대한민국 | 10,030원 | 10,030원 | 2025년 최저임금 고시 기준 |
🇯🇵 일본 | 1,054엔 | 약 9,778원 | 2024년 기준, 2025년 예상치 1,090엔 |
🇺🇸 미국 | $7.25 (연방 기준) | 약 9,700원 | 2009년 이후 동결, 주별 상이 |
🇺🇸 미국 (시애틀) | $20.76 | 약 27,800원 | 2025년 시애틀시 기준 |
🇦🇺 호주 | A$23.23 | 약 21,000원 | 2024년 7월 기준, 2025년 A$24.10 예정 |
환율은 2025년 3월 기준이며, 실제 환율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각국 최저임금의 특징 및 장단점
🇰🇷 대한민국
- 장점:
- 주휴수당 포함 시 월 약 209만 원으로, 서울 기준 1인 생활비를 어느 정도 충족 가능
- 의료, 교육, 대중교통 등 공공서비스의 접근성과 비용이 비교적 우수
- 단점:
- 중소기업과 자영업자에게 인건비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음
- 업종별, 지역별 차등 적용이 없어 논란이 있음
🇯🇵 일본
- 장점:
- 물가가 안정적이고 대중교통이 발달하여 생활비 절감 가능
- 의료비 부담이 적음
- 단점:
- 엔화 약세로 인해 실질 구매력이 낮아질 수 있음
- 지역별 최저임금 차이가 커서 지역 간 격차가 존재
🇺🇸 미국
- 장점:
- 일부 주와 도시에서는 높은 최저임금을 적용하여 생활비를 보완
- 단점:
- 연방 최저임금이 2009년 이후 동결되어 실질 구매력 감소
- 주별로 최저임금이 상이하여 지역 간 격차가 큼
🇦🇺 호주
- 장점:
- 높은 최저임금으로 근로자의 생활 수준 보장
- 강력한 노동자 보호 제도와 사회보장 시스템
- 단점:
- 높은 생활비로 인해 실질 구매력이 낮아질 수 있음
- 고용주에게는 인건비 부담이 큼
📌 결론
각국의 최저임금은 단순한 금액 비교보다는 해당 국가의 물가, 생활비, 사회보장 제도 등을 함께 고려하여 실질 구매력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한민국은 공공서비스의 접근성과 비용 측면에서 장점을 가지며, 호주는 높은 최저임금으로 근로자의 생활 수준을 보장하지만, 생활비가 높아 실질 구매력은 낮을 수 있습니다. 미국은 주별로 최저임금이 상이하여 지역 간 격차가 크며, 일본은 엔화 약세로 실질 구매력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