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APM 수술 시에 Medial release를 시행하는 이유

thingpa 2025. 2. 5. 11:04

Arthroscopic Partial Meniscectomy(관절경 부분 반월상 연골 절제술) 중 Medial Release를 시행하는 이유

Arthroscopic Partial Meniscectomy는 반월상 연골판의 손상된 부분을 제거하는 수술입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Medial Release(내측 해리술)**가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1. Medial Release란?

Medial Release내측 관절막(medial capsule)과 내측 구조물(내측 측부 인대, 내측 근막 등)을 부분적으로 절개하거나 스트레칭하여 내측 공간을 확보하는 술식입니다.


2. Medial Release를 시행하는 이유

1) 수술 중 시야 확보 및 기구 접근 용이성

  • **Medial Meniscus(내측 반월상 연골판)**은 해부학적으로 깊숙이 위치하고 있으며, 내측 관절 구조물들이 단단히 붙어 있어 수술 시 기구 접근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 특히, **내측 관절막과 내측 측부 인대(MCL, Medial Collateral Ligament)**가 타이트하면 내시경과 수술 기구가 충분히 움직일 공간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 Medial Release를 시행하면 공간을 넓혀서 수술 기구가 원활하게 들어갈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2) 내측 반월상 연골의 안정적인 제거를 위해

  • 부분 절제술을 시행할 때, 연골이 충분히 노출되지 않으면 불완전한 절제가 될 수 있고, 잔여 연골이 남아 추가적인 손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Medial Release를 시행하면 반월상 연골을 보다 안정적으로 잡고 정확한 절제를 할 수 있습니다.

3) 과도한 내측 압박으로 인한 관절 손상 방지

  • 내측 관절 구조물이 너무 타이트하면 반월상 연골을 제거할 때 과도한 힘이 가해져 연골이나 연골하 뼈(Subchondral Bone)에 추가적인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Medial Release를 시행하여 부드러운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면 불필요한 스트레스 없이 안전하게 절제할 수 있습니다.

4) 내측 반월상 연골판 변연부(posterior horn) 접근성 향상

  • 내측 반월상 연골판의 **후방부(posterior horn)**는 특히 접근이 어려운 부위입니다.
  • Medial Release를 통해 공간을 확보하면 후방부까지 충분히 노출되어 정확한 절제 및 트리밍이 가능합니다.

3. Medial Release 방법

  • Soft Tissue Release: 내측 관절막과 주변 연부 조직을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유연성을 증가
  • Controlled MCL Stretching: 내측 측부 인대(MCL)를 조심스럽게 늘려서 관절 공간을 확보
  • Capsular Release: 필요할 경우 관절막을 일부 절개하여 내측 공간을 더욱 확보

4. 결론

수술 중 내측 반월상 연골에 대한 접근이 어렵거나, 연골을 효과적으로 절제하기 위해 공간이 필요할 때 Medial Release를 시행합니다. 이를 통해 수술의 정확성을 높이고 추가적인 관절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